본문 바로가기

IT 이야기

Cloud 서비스에 대한 단상들

1. '클라우드'에 대한 개념은 여전히 뜬구름과 같이 모호하다. 관련해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클라우드 개념의 불확실성' 이란 보고서가 게재되었는데 한번씩 읽어보기를 권한다. 관련 링크는 http://bit.ly/ptk4ep 이다.


2. 실제 서비스 철학과 무관하게 Consumer 대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동기화(Sync)'로 시장 정리가 되는 듯 하다. '동기화'는 기존 웹하드가 제공했던 '백업(Backup)'과는 매우 유사한 기능적 요소를 가지고 있지만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Apple의 iCloud가 mp3의 Tag를 검색해서 내용 파악이 된 음원의 경우 Sync를 하지 않거나 사진을 30일만 저장하는 것도 이러한 '목적'에 기인한다.


3. 국내 대형 포탈과 통신사에서 하는 Consumer 대상의 Cloud 서비스들은 초기 Marketing으로 관심을 받았는데 이제는 근본적인 차별성을 보여줘야 하는 시기이다. iCloud 처럼 Sync에 맞는 기능 개선과 DropBox와 같은 API를 통한 생태계 구축과 같은 철학이 보이지 않는다면 이름만 바뀐 웹하드일 뿐이다. 플랫폼이 없는 Thin Client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변명을 하지 말아주시기를~


4. 얼마전 정부모처의 기술위원회 회의에 참석한 적이 있다. 당시 Cloud의 수명에 대한 논의가 잠깐 있었는데 대부분 5년 정도를 예견했고 mobizne은 3년을 예견했다. 3년을 이야기 한 것은 '동기화'라는 목적성을 가진 Consumer Cloud를 염두에 둔 것이다.


5.'3년'을 예측한 이유는 '네트워크 속도'때문이다. Sync를 하는데 Cloud는 중앙 집중적인 관리를 해주고 있다. 실체는 보이지 않지만 다양한 Device안의 정보가 상호 동기화 해주는 중앙 Storage 서버가 있는 것이다. 현재의 환경에서 중앙 서버가 필요한 이유는 3G 대역폭의 한계와 Device 성능 때문이다. 만약, 이 부분이 해결된다면 필요한 정보는 기기 안으로 직접 Access 하면 된다. 쉽게 말하자면, 오래전부터 시도되었던 Mobile Web Server( http://www.mobizen.pe.kr/658 )와 같은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굳이 상호 동기화가 필요 없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이 LTE의 상용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3년 정도후면 가능해지리라 예측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