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이야기

(200)
The Android Revolution TimeScale: 2010 Datagraphic The Android Revolution Timeline 2010 Data Graphic
Mobile Landscape 2011 인사이트에 대한 감동보다는 뒷부분에 나오는 Don't dos 부분이 재미있다. 남들이 이미 성공해서 자리를 잡았거나 남보기만 '그러싸한' 전략이나 제품인지 다시 한번 재점검할 필요가 있겠다. Mobile Landscape 2011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Mikko Ohtamaa
State of Mobile May 2011 몇가지 흩어져 있는 모바일 관련 자료를 슬라이드로 모아 놓은 것. Data 위주의 슬라이드여서 감동은 크지 않으나 참고할 만한 수치들이 몇몇 있다. 이미 상세 수치는 큰 의미가 없는 스마트폰 관련 내용보다는 마지막에 있는 Tablet Chapter에 눈길이 간다. State of Mobile May 2011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Red Giant Consulting
[Infographic]The Social Gaming Advertising SNG의 광고 시장에 대한 정리. SNG는 Game의 재미요소보다는 결국 사용자풀이 되는 SNS의 규모가 중요한데, 페북과 트위터가 버티고 있는 북미 시장과 달리 국내만의 SNG의 시장 규모가 정말 의미있을 수 있을까는 근본적인 문제. Game 회사야 그런 고민없이 멀티채널 전략을 써도 되겠지만, 플랫폼 프로바이더는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다는..
Skype history infographic Skype의 주요 역사에 대해 잘 정리해 놓은 infographic 이다. 다른 모든 항목보다 Winner와 Looser 부분이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온다. ^^
2011년 WIS 방문기 금일 오전에 없는 시간에 짬을 내어 WIS( http://www.worlditshow.co.kr )에 다녀왔다. 전부를 돌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여 3층에 있는 대기업관만 디테일하게 관람하고 나머지는 지나가면서 분위기 파악만 하였다. 약 2시간 정도 관람하고 나왔는데 지인들로부터 악평을 들었던터라 워낙 기대를 안하고 가서 그런지 나름 볼만한 구석이 조금 있었다. 이러한 전람회가 트렌드를 반영한다는 전제하에 최근 IT흐름은 매우 명확한 듯 하다. SKT, KT, 삼성전자, LG 전자의 부스만이 눈에 띄게 거대하고 나머지는 조그마한 부스였다. 통신사는 모두가 LTE를 이야기 하고 있고, 제조사들은 전부 3D, 스마트 TV 쪽을 이야기 하는 듯 하다. 전반적인 부스 구성에는 SKT가 가장 볼만한 듯. 네트워크 인..
Mobile OS 세계 지도 statcounter.com의 자료를 기반으로 browserrank.com 에서 정리한 국가별 1위 Mobile OS 정리.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 이미지가 나온다. 아직까지는 Symbian이 1위인 나라가 많다. 국내는 Android가 가장 많은 단말로 분류되었다. 북미에서의 iOS 시장 지배력이 인상깊다.
페이스북 포스팅의 1/3은 모바일에서 발생 danzarrella.com에 따르면 70,000의 페이스북 포스팅을 분석한 결과 32.69%가 모바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obile Web으로의 접근이 18.78%로 높은 이유는 Feature Phone에서 페북 사용이 여전히 많기 때문. 영국 사용자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한 CSMA UK 자료에 의하면 모바일로 사용하는 사이트 중 페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