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95) 썸네일형 리스트형 86% 개발자가 Android 단편화가 문제라고 생각 Baird Research의 William Powers가 공개한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개발자의 86%는 Android 단편화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24%는 매우 심각하다고 밝혔다. 개방형(?) 구조의 장점이자 단점인데.. Apple에게 못된 것만 배운 Google이 최근 뭔가를 제어하려는 것 같아 변화가 조금 있을 듯~ [Infographic] How Local News Is Going Mobile Local 정보를 통해 모바일만의 특장점을 강조하는 것은 참 풀리지 않는 숙제. 땅덩어리가 작고, 지역간 정보화 격차가 심한 국내에서는 더더욱 어려운 문제. 그나마 날씨 정보정보는 가능하지만 나머지는 이슈를 만들어 내기가 쉽지가 않다는... 지역 날씨 사용자 42%, 지역 맛집과 사업자 37% 등은 그나마 참고할만하지만 나머지는 국내 상황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참고 자료~ 40% 성장한 미국 모바일 동영상 사용자 2009년 4분기 대비, 2010년 4분기 모바일 동영상 사용자(가입자)가 40%나 성장했다는 Nielsen Company의 보고서. 전세계 스마트폰 가입자 추이 2011년에는 전체 휴대폰 중 9.9%가 스마트폰일 것이라는 예측. 이머징 마켓이 크다고는 하나 다른 보고서에 비해는 조금은 보수적인 전망치인 듯~ [Infographic] Mobile Market Trend OS별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 추이 블로그에 포스팅 하려고 자료 만들다가 문맥에 맞지 않아 빼놓은 내용. 방통위 공식 보도 자료에 포함되어 있어 이미 많은 분들이 접했겠지만 필요한 분이 있을 듯 하여 공유한다. [Infographic] Top 5 Handset OEMs 2001-2010 [Infographic]M-Commerce 최근 MFC를 중심으로 M-Commerce, M-Payment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 Google은 Cream이란 프로젝트명으로 시장 Push를 하고 있고 뉴욕과 샌프랜시스코를 시작으로 계속 확장해 나갈 계획. 반면에 iPhone5에 들어갈 것으로 모두 예상했던 NFC는 다시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루머도 돈다.(iPhone5의 NFC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루머일 뿐..) 최근 드는 생각은 기존 M-Commerce, M-Payment와 같은 신규 인프라들이 실패했던 것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 기술 기반의 ICT 기업들의 Needs와 전략으로 생성되는 시장은 한계가 있는 듯. 기존 금융권이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 도메인과 운여노하우를 평가 절하해서는 안된다. 핵심은 표준화와 레거.. 이전 1 ··· 3 4 5 6 7 8 9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