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선

(52)
[Infographic]Mobile Affairs Mobile Commerce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Infographic. 몇가지 중요한 데이터들을 다루고 있으므로 참고할만 하다. 다만, 행간에 숨겨져 있는 내용이 많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이 Mobile Web을 리드하고 있다는 것은 스마트폰이 아닌 피쳐폰을 포함한 것이며 오래 전부터 모바일이 PC보다 발달한 특수한 인프라 환경이었음을 이해하고 수치를 봐야 한다.
Mobile in 60 seconds 4,111 ads tapped 400,710 ad requests-of those, 140,248 are rich media ad requests 23,148 apps downloaded in the App Store $2,340 ad dollars spent in the U.S. 180 million coins collected on Tiny Zoo Friends 250,000 pieces of fruit sliced on Fruit Ninja 208,333 minutes of Angry Birds played
Smart Phone과 PC의 서비스별 사용 빈도 Smart Phone과 PC의 서비스별 사용 빈도 비교표이다. Connect(Communication과 Comunity라고 해석된다)와 검색의 빈도가 양쪽 다 가장 높은 것은 새삼스러운 이야기는 아니다. 아래 도표에서 PC와 모바일의 디테일한 수치 비교 역시 큰 의미는 없는 듯 하다. 눈에 띄이는 한가지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소비 비중이 Smart Phone보다 PC가 월등히 높다는 것. 그만큼 엔터테인먼트 Contents들이 무거워지고 있다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구글 모바일의 2011 모바일 리서치 동영상 이렇게 동영상 중심의 인터뷰 나열도 재미있네요. 다만, 내용이 워낙 일반적이라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어내기에는 조금 아쉬운 면이 있네요. 전체 플레이 타임도 그리 길지 않아 가볍게 한번씩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동영상은 2011년 7월에 제작된 것이라고 하네요.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결과 이 포스팅은 디지에코 기고용으로 작성했다가 비슷한 보고서가 이미 있어 게재되지 못한 원고이다. 개인적인 로그를 위해 블로그에 남긴다. 속보성을 우선으로 하는 섹션이므로 Deep한 인사이트를 기대하지는 마시기를... ^^ 1. Issue Summary 1.1. 방송통신위원회는 8월 29일, 800㎒와 1.8㎓대역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를 속개한 결과 첫 번째 라운드(누적 83라운드)에서 KT가 1.8㎓대역에 입찰을 하지 않고 800㎒대역에 입찰함으로써 금번 경매가 종료되었다고 밝혔다. 1.2. 이번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는 KT가 800㎒대역 10㎒폭, SKT가 1.8㎓대역 20㎒폭, LGU+가 2.1㎓대역 20㎒폭을 낙찰 받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 이번 주파수 경매는 초기에는 2.1㎓대역 경매에 관심..
'N스크린 시대, 하이브리드 앱 개발이 해법' 토론을 보고... 블로터포럼에서 'N스크린 시대, 하이브리드 앱 개발이 해법'이란 주제로 토론을 하였고, 해당 사이트에 정리하여 포스팅이 되었다. 개인적으로도 너무 잘 알고 있는 @manyoungc, @iskra2006, @xguru 님이 토론을 하고 이를 정리한 글이며 원문 주소는 http://www.bloter.net/archives/62930 이다. 내용을 따라 읽다 보니 몇가지 코멘트 할게 생겨 생각을 정리하지 않고 블로그에 간략하게 남겨본다. 1. 여전히 하이브리드앱에 대한 정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흔히 이야기 하는 Web in App의 형태야 이제는 명확한 것 같은데 위젯과 WAC을 하이브리드앱으로 구분하는 것은 다소 모호하다. 본문에서도 조만영대표님이 이야기 한 것과 같이 Web Application의 정..
The iPhone Era Infographic
The Android Revolution TimeScale: 2010 Datagraphic The Android Revolution Timeline 2010 Data Grap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