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생활 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52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수족관



해수어항 폭탄
해수 어항에 폭탄이 찾아 왔다. 지난 주말부터 스키머에 연결된 에어펌프의 소리가 너무 커서 강도를 약하게 해 놓았더니 물이 점점 탁해지는 것 같았다. 얼마전에 산 플레이트 산호 상태가 안 좋아지더니 맛이 가기 시작했다. 급기야 어제 저녁에 집에 들어갔더니 그토록 애지중지했던 플레임 엔젤이 용궁행 직전이다. 아침에 일어났더니 플레임 엔젤은 운명을 달리하였고, 튼튼했던 퍼클러크라운 작는 녀석 또한 상태가 안 좋다. 수질을 살펴보니 상태가 무척이나 안 좋다. 급하게 환수를 해주었는데..
처음에는 문제의 원인이 에어펌프를 약하게 하는 바람에 여과를 잘못해주는 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좀 더 조사를 해보니 플레이트 산호가 강력한 용의자로 떠올랐다. 아무래도 플레이트 산호가 폭탄을 터트리고 죽었나 보다. 썩은 냄새가 진동을 한다. 예전에 말미잘 폭탄도 잘 넘겼는데 이번에는 곱게 넘기지 못할 듯 하다. 모든 물고기들이 라이브락 뒤에 숨어서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몇일간에 걸쳐서 환수를 해 주어야 할 듯. 산호가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빨리 빼줄 것... 이번에 얻은 교훈이다. 다른 녀석들은 무사해 주어야 할텐데...

2001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는 400L 이상의 Extra Large가 추가되어 실시되었다. 아래는 수상 내용이다.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Extra Large 1위 작품 (출품인 : Jacian Ho, Singapore Singapore)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Extra Large 2위 작품 (출품인 : Steven T. Dixon, San Francisco CA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Extra Large 3위 작품 (출품인 : Jeffery Senske, Houston TX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Large 1위 작품 (출품인 : Erik Leung, San Francisco CA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Large 2위 작품 (출품인 : John Martin, Fairfax VA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Large 3위 작품 (출품인 : D. Ewasiuk, Vancouver BC Canad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1위 작품 (출품인 : Zach Lanier, Dumont NJ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2위 작품 (출품인 : Diana Berberich, Newburgh NY USA)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3위 작품 (출품인 : dennis chua, singapore singapore)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Best Of Show", Small 1위 작품 (출품인 : Detlef Hupfeld, Koenigswinter Germany)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Small 2위 작품 (출품인 : Jacian Ho, Singapore Singapore) >


<2001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Small 3위 작품 (출품인 : Jason Luebke, Circle Pines MN USA) >


열대어 합사 가능 여부표


바다여행 문자 서비스 부활
그동안 문자 서비스를 원하지 않는 고객분들을 위해 몇번 서비스를 중지했었으나, 대다수 회원님들은 문자 서비스를 원하셔서 부득이하게 다시 시행함을 알려드립니다.
문자 서비스를 시행함에 있어 회원 모두에게 한꺼번에 보내야 하기 때문에, 원하시는 회원에게만 선택적으로 보낼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문자 서비스를 원하시지 않는 분들에게는 회원 탈퇴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문자 서비스를 원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자유게시판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남겨놓으시면 신속하게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현실적으로 바다여행 홈페이지의 회원 가입이라는 것이 문자 서비스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없으니 문자가 불편한 분들은 탈퇴를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매번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입하가 되는 생물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나 갑작스럽게 수입이 결정되는 기회를 놓칠 확률이 적어지므로 문자 서비스의 부활이 즐겁다.
2000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Best Of Show", Large 1위 작품 (출품인 : Frode Roe, Trondheim Sor-Tronde Norway)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Large 2위 작품 (출품인 : Frode Roe, Trondheim Sor-Tronde Norway, 1위와 동일인)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Large 3위 작품 (출품인 : Tolis Ketselidis, Athens Greece)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1위 작품 (출품인 : Mike Grace, Lino Lakes Minnesota USA)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2위 작품 (출품인 : Ilkka Kallio, San Jose Ca USA)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Medium 3위 작품 (출품인 : Jeff Kropp, Oakland CA. USA)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Small 1위 작품 (출품인 : Jason Luebke, Circle Pines MN USA)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Small 2위 작품 (출품인 : Jason Luebke, Circle Pines MN USA, 1위와 동일인) >


<2000년도 AGA 수초어항 컨테스트, Small 3위 작품 (출품인 : Kurt H. Niedrich, Long Beach CA USA) >


어항사진을 잘 찍는 기본 노하우
1. 플래쉬는 반드시 꺼야 한다.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수족관의 조명은 대부분 형광등에 의존하고 있는데, 사진 찍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조명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햇볕에 노출하여 찍거나 거울의 반사를 이용해야 하는데, 물생활을 하면 할 수록 이끼와친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무척이나 어렵다. 그렇다고 플래쉬를 터트려서는 안된다. 플래쉬를 터트리면 수조 유리에서 빛이 반사되어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가 어렵다.
형광 조명이 닿지 않아 어쩔 수 없이 플래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유리의 정면이 아닌 약간 측면에서 촬영을 해야 반사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셔터 스피드는 길게 잡아주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이럴 수록 삼각대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주변 조명은 모두 차단해야 한다.

수조 주변의 조명을 소등하거나 차단해야 한다. 이는 수조 유리면에서 나오는 빛의 반사를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PL필터로 난반사를 없애는 방법도 있지만, 그리 효과적이지도 않을뿐더러 색감에 왜곡이 올 수도 있어 주변 조명을 소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 특성을 이용한 필터. 편광은 비스듬한 투사광이 균일한 표면에서 반사될 때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유리창이나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차단하면 그만큼 깨끗하고 진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카메라의 편광 필터는 편광 방향을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편광 필터를 사용하면 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파장만 남게 되어 자동 초점(AF) 카메라에서는 빛을 잘 인식하지 못하여 초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한 것이 원 편광(CPL) 필터이다.

또한 사진을 찍을 때 접사를 하기 위해서 어항 가까이 카메라를 가져가게 되는데, 이때 렌즈에 수조 조명이 들어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좌측의 그림처럼 수조의 조명, 또는 외부의 조명이 렌즈에 직접 닿게되면 빛이 간섭과 회절을 일으키게 되어 사진이 뿌옇게 나오게 된다. 적당한 것으로 차광을 해줘도 되고 카메라 위치를 조명이 닿지 않는 곳에서 촬영을 하는 것이 좋다.
3. 촬영각도는 수조면과 평행을 유지한다.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급적 카메라 렌즈와 수조 유리면의 각도를 평행으로 유지해야 한다. 각도가 심해지면 빛의 굴절현상이 생기고, 프리즘효과가 생겨 선명한 사진을 기대하기 어렵다.

4. 반셔터를 이용하라.
빛의 밝기 조절은 반셔터를 이용할 수 있다. 수족관의 중간 정도의 밝기를 유지하는 지점에서 카메라의 중심을 맞추고 반셔터를 누른다. 그리고 자신이 찍기 원하는 피사체로 초점을 이동하여 찍으면 적당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어두운 부분에 놓고 반셔터를 누르면 빛이 많이 닿는 부분은 새하얗게 되고, 반대로 너무 밝은 부분에 맞추면 노출 부족으로 고기나 수초가 어둡게 찍힐 수 있으니 몇번의 시행 착오를 거쳐서 자신의 원하는 밝기를 찾아야 한다.


5. 물고기는 대부분 빠르다.
우리들이 보유한 물고기들은 대체로 사진을 찍을 때까지 가만히 기다려 주지 않는다. 카메라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권장할 수 있는 설정은 ISO 400, 조리개 f 4 - 5.6, 셔터 스피드는 1/30 초정도가 적당하다. 흔히 움직임이 빠른 물고기를 찍기 위해 어항에서 떨어져 있다가 찍기를 원하는 물고기가 다가오면은 그 순간 카메라를 가져가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갑작스럽게 카메라가 다가가면은 물고기는 도망치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미리 그 특정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그 위치로 물고기가 왔을때 찍는 것이 가능성이 더 높다.
6. 기타 사항
인터넷 게시판에 물고기 사진 잘 찍는 법에 대해서 질문을 올려보라. 답글 중 상당수는 찍기 어렵다. 일단 많이 찍어야 한다. 고 답변이 올 것이다. 카메라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공부한 이가 아니고서야 조리개, 셔터 스피드에 대한 설명을 아무리 들어봐야 이해하기 어렵다. 일단 많이 찍고 봐야 한다. 100장을 찍으면 1장 정도 건지면 다행이다라는 생각으로 찍어라.
뚝딱이 카메라나 수동 카메라로 100장을 찍을 시간은 없고, 약간은 색감이 떨어져도 좋으니 심령사진(!!)만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분은 차라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라. 반응을 약간 느리지만 오히려 흔들림도 덜 하고, 조명도 적당히 맞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30만 화소 정도면 알아볼 수준의 사진은 얻어서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올리기에 충분하다.
그래도 수동에 대한 기본 지식이라도 있으면 하는 사람은 이것만 알아두자. 셧터 스피드는 빠른데 노출이 적다면 사진은 어둡게 나오고, 셧터 스피드는 느린데 노출이 많다면 사진은 밝게 나온다. 우리와 같이 어항찍는게 주 목적이라면 셧더 스피드는 짧게 하고 노출은 많이 하여 주시면 선명한 사진을 얻을수 있다.
수초어항 콘테스트 - 트로피쉬넷
국내 가장 큰 물생활 커뮤니티 사이트인 트로피쉬넷에서 2008년 8월 수초 어항 콘테스트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콘테스트에는 총 25개의 작품이 출시되었고, 총 183명의 회원분들이 작품에 대한 채점에 참여 했다고 한다. 선정된 작품과 예전에 발표되었던 몇개의 작품을 아래에 소개한다.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해외에서 진행했던 몇가지 수초어항 콘테스트 결과를 소개하는 시리즈를 진행하고자 한다. 부디 눈만 버리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 2008년 2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 컨테스트 1위작품 (출품인 : ngw99님) >

< 2008년 2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 컨테스트 2위작품 (출품인 : ojh9009님) >

< 2008년 2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 컨테스트 3위작품 (출품인 : daedong님) >

< 2007년 1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컨테스트 대상작품 (출품인:탕가니카님)>

< 2005년 8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컨테스트 대상작품 (출품인:손성호님)>

< 2005년 6월 트로피쉬넷 수초어항컨테스트 대상작품 (출품인:강희권님)>

바다여행 사진 몇 장





해수어 합사 가능 여부표
열대어던 해수어던 같은 종끼리도 합사가 안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나 해수어의 경우에는 탱 종류끼리는 합사를 피하는게 좋다. 물론, 표라는게 일반적인 물고기의 성향이고 사람들 개개인들도 성격이 제각기 다르듯이 물고기도 개성이 다 다르므로 반드시 맞다고 볼 수는 없다. 일반적인 성향이라고만 이해하기를 바란다.

-
-
mobizen
2008.03.02 01:30 신고다루님.. 반갑습니다. 혹시나 키우시게 되시면 저에게도 소식 알려주세요.
노파심에 드리는 말씀인데 위 도표는 열대어가 아니라 해수어 도표입니다. ^^
-
2008.04.07 18:46
2008.04.26 15:19 신고